목록네트워크/OSI모델 (3)
이재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것이 네트워크 계층의 역활이며, 이 계층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라우터라는 네트워크 장비가 필요합니다. 라우터는 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것이 좋은지를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라우터또한 데이터를 보내려는 상대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알려주지 못합니다. 랜에서는 MAC주소만으로 통신할수 있지만 다른네트워크에는 데이터를 보낼수 없는데요, 그래서 네트워크를 식별할수 있는 주소가 있는데 그 주소를 IP주소 라고 합니다. IP주소는 어떤 네트워크의 어떤컴퓨터인지를 구분할수 있도록 하는 주소 입니다, IP주소만 있다면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를 지정할수 있습니다. 목적지 IP주소까지 어떤 경로로 데이..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두번쨰 계층인 데이터 링크계층 기술이 필요합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장비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으로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입니다, 그 규칙등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이 이더넷 입니다. 이더넷은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기 위한 규칙입니다. 허브가 여기서 다시 등장하는데 허브는 원치않는 데이터까지 수신이 필요한 컴퓨터 외에 나머지에게도 데이터를 전달해줍니다 그래서 더미 허브라고 부르는데 목적이 이외의 컴퓨터는 데이터를 받더라도 무시하게 되어 있습니다. 규칙이 정해져 있기 떄문이에요 컴퓨터 여러대가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면 서로 부딪힐수 있는데 이것을 충돌이라고 합니다 이더넷은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려면 1계층 물리계층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전기신호의 종류에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두가지가 있습니다. 물결모양의 전기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라 하고 그 신호는 전화 회선이나 라디오 방송에 사용되는 신호입니다 막대모양의 신호를 디지털신호라고 합니다. 데이터 송신측 컴퓨터가 전송하는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측 컴퓨터에 도착합니다 수신 측 컴퓨터에서는 전기 신호를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로 복원합니다. 0과 1을 변환시켜주는 역활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수 있도록 랜카드라는게 메인보드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랜카드가 0과1의 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역활을 합니다. 허브란 허브는 포트(실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