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호
고차함수란? 본문
처음에 고차함수라고 하길래 정말 어렵게 다가왔었는데 간단한 예제를 통해 배워보니 생각보다 배우기 괜찮았다
- 고차함수란 다른 함수와 함께 작동하거나 또는 다른 함수에서 작동하는 함수를 고급스러운 말로 표현한것이다 💍
- 다른 함수를 인수로 받아서 보통 그 인수로 어떠한 작업을 하는 함수이자 함수를 반환할수 있는 함수입니다.
쉬운예제
먼저 변수에 함수를 담을수 있는 익명함수를 생성해줍니다.
let eazy = function(){
console.log("super Eazy")
}
그 다음 익명함수를 인자로 받을 고차함수를 생성해줍니다.
function simple(func){
func()
func()
}
그 뒤에 simple함수를 호출하고 소괄호 안에 익명함수의 변수명을 작성합니다
그럼 easy 함수안에 선언되었던 console.log("super Eazy")가 고차함수안에서 2번 실행되어
"super Eazy"
"super Eazy"
두번 호출됩니다.
기명함수를 통한 주사위 예시
function rollDie(){
const roll = Math.floor(Math.random() * 6) + 1
console.log(roll)
}
function callDice(fuc){
for(let i = 0; i < 10; i++){
fuc()
}
}
callDice(rollDie);
🚨 주의사항 : 고차함수를 호출할떄 인수안에서 익명함수를 또 호출하면 () <= 중괄호를 사용하면 고차함수의 파라미터로 넘겨줄떄 실행이 되지 않는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프론트엔드 > 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uce란 (0) | 2023.02.09 |
---|---|
깊은복사 , 얕은복사 (0) | 2023.02.09 |
this란? (0) | 2023.02.07 |
기명함수와 익명함수란? (0) | 2023.02.07 |
렉시컬 스코프란? (0) | 2023.02.07 |